여름 겨울 계절별 타이어 적정공기압 계절에 관계없이 적당한 수준의 공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을 계절 또는 기상 여건에 따라서 다르게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타이어 제조사 및 차량 제조사의 타이어 관리 주의 사항에 따르면 계절이나 기상 여건에 관계없이 늘 적정 수준의 공기압을 유지해야 합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외부 기온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적어도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확인을 해주는 것이 좋고 승차감이나 출력 등 주행 성능에 달라진 것이 느껴진다면 타이어 공기압도 체크를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자동차의 경우 스페어타이어 대신 타이어 보수 키트와 위에 사진에 있는 타이어 공기 주입기가 들어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해당 공기 주입기의 경우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려면 배터리 단자 또는 시거잭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지만 단순히 공기압을 측정하는 것은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 위에 사진처럼 공기주입기 호스만 연결하면 됩니다.
여름철 자동차 타이어 적정 공기압 확인 방법
대부분의 자동차 운전석 도어를 열고 차체 쪽을 살펴보면 차량의 출고 연도와 형식 등 정보가 표시된 라벨과 타이어 표준 공기압이 표시된 라벨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위체 자동차는 싼타페 차량으로 왼쪽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에 타이어 적정공기압(표준 공기압)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오른쪽 사진처럼 해당 차량의 타이어 적정공기압(표준 공기압)은 35psi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위에 적정 공기압은 주행전 상태일 때 공기압이며 어느 정도 주행을 하면 타이어 열기로 인해 공기압이 조금 올라갑니다.
참고로 외부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타이어 내부 공기압이 올라가고 추운 겨울에는 타이어 공기압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겨울에 표준 공기압으로 맞췄다고 하더라도 여름에는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해봐야 합니다.
그럼 주행 직후에 타이어 공기압을 맞춘다면 어느 정도로 맞춰야 할까요?
그것은 타이어에 표시되어 있는 최대 공기압을 참고해야 합니다.
타이어 옆면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중 위에 사진처럼 해당 타이어가 견딜 수 있는 최대 공기압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타이어에 표시된 'MAX Lnflation Pressuer'옆에 수치가 해당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으로 타이어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해당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은 51psi로 표시되어 있고 주행 중이나 주행 직후에 타이어 공기압이 올라가더라도 51psi를 넘어서는 안됩니다.
타이어 제조사와 전문가 분들의 말에 따르면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해당 타이어 최대 공기압의 80% 수준입니다.
해당 타이어는 최대 공기압이 51psi이기 대문에 적정공기압은 41psi가 됩니다.
앞서 차량에 부착된 주행 전 상태 표준 타이어 공기압은 35psi였습니다.
그러니까 해당 차량의 타이어 적정공기압은 계절에 관계없이 주행 전 상태일 때 35psi이며, 주행 주 공기압은 41psi가 유지되면 됩니다.
타이어 교체 시기 수명 확인 방법
자동차 타이어의 수명의 해당 타이어의 성능과 기능이 특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주행 과정에서 그것을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어가 마모된 정도와 마모 상태 그리고 출고 후 사용기간을 보고 교체 시기를 판단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타이어 접지면에는 여러 가지 무늬가 있으며 그중 가장 깊이 파인 굵은 홈에는 살짝 올라온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의 이름은 '마모한계선'입니다.
주행 중에는 타이어 접지면이 지속적으로 마모되고 그렇게 접지면이 마모돼서 마모 한계선이 지면에 닿은 정도가 되면 타이어 수명이 다되어 교체 시기가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접지면에 마모한계선이 있는 굵은 홈의 깊이는 새 타이어의 경우 약 7~8mm 정도이며 마모한계선의 높이는 약 2mm이기 때문에 타이어 접지면이 5~6mm 정도 마모되면 그 타이어는 본래 성능을 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접지면에 홈과 무늬는 모두 각각의 역할과 기능이 있는데 타이어가 마모되어 홈이 얕아지거나 무늬가 사라지면 타이어 기능과 성능이 필요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게 됩니다.
타이어 마모한계선의 위치는 위에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것처럼 타이어 옆면에 삼각형 모양으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타이어 마모한계선은 접지면 굵은 홈에 모두 각각 있습니다.
간혹 타이어 안쪽과 바깥쪽의 마모 정도가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편마모 증상으로 가장 마모가 심한 곳을 기준으로 타이어 수명 및 교체 시기를 판단해야 합니다.
그리고 편마모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정비소에 가서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자동차 뒷바퀴 타이어는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안족 마모한계선이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위와 같이 타이어 홈에 동전을 거꾸로 끼워서 보이는 정도를 가지고 마모 정도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갓의 윗부분이 모두 가려지는 정도가 되면 새 타이어 수준이며 오른쪽 사진처럼 갓이 모두 보일 정도로 상태가 되면 해당 타이어는 교체시가가 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제조일자(제조연월) 출고 시기 확인 방법
타이어는 고무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와 직사광선, 습도 등 외부 환경에 따라서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 변형이 생기게 됩니다.
외부 환경으로 인해 타이어를 구성하는 고무가 심하게 경화되거나 산화되면 사용하지 않은 타이어라고 하더라도 본래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이어 제작 출고 후 4~5년을 경과한 타이어는 사용 가능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하고 산화 및 경화가 많이 진행되었거나 변형이 되었다면 새 타이어라고 하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타이어의 제조시기는 위에 사진처럼 타이어 옆면에 표시된 네 자리 숫자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 자리 숫자 중 뒤에 두 자리는 타이어가 제작된 연도의 뒷자리를 의미하며 앞에 두 자리는 몇 번째 주에 생산된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왼쪽 사진타이어에는 3423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2023년 34번째 주에 제작 출고된 타이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까 대략 2023년 8월 무렵에 제작된 타이어입니다.
오른쪽 타이어에 표시된 2922는 2022년 29번째 주에 제작 출고되었다는 의미로 2022년 5~6월 무렵이 됩니다.
'내 차 관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리모컨 건전지 빼는 법 규격 교환하기 (0) | 2025.07.31 |
---|---|
아반떼 HD 자동차 경보기 오작동 원인 엔진경고등 (0) | 2025.07.30 |
자동차 워셔액 넣는 곳 넣는 방법은 간단 (0) | 2025.07.28 |
자동차 와이퍼 빼는 끼우는 법 리어와이퍼 (0) | 2025.07.27 |
자동차 주유구 위치 방향이 다른 이유 주유구 확인 (0)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