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관문에 지름 32mm 큰 구멍을 뚫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무타공 디지털 도어락 푸시풀 방식 설치
제가 설치할 도어락은 주키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으로 손잡이를 누르거나 당기는 방식으로 문을 열거나 닫을 수 있습니다.
현관문 도어락의 경우 지름 32mm 구멍과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 구멍을 뚫어서 설치하는 것들이 있지만 제가 설치한 도어락은 타공이 필요 없는 무타공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입니다.
주키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려면 기존에 달려있던 현관문 손잡이와 보조키 도어락을 떼야하며 안전 고리 설치 위치에 따라서 안전고리도 떼야할 수도 있습니다.
현관문 손잡이 보조키 도어락 떼기
보조키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이나 열쇠는 사용하는 보조 잠금장치는 모양이나 방식이 조금 다르지만 떼는 방법은 대체로 비슷합니다.
왼쪽 사진처럼 도어락을 열림 상태로 만들고 배터리를 빼냅니다.
해당 도어락의 경우 스위치 주변에 네 개의 볼트를 풀면 도어락이 현관문에서 떨어지고 연결된 잭을 분리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도어락이 완전히 떨어집니다.
왼쪽 사진 가운데 두 개의 큰 볼트는 실외 도어락을 고정하는 볼트로 도어락 종류에 따라서 3개 이상 볼트가 끼워진 것도 있습니다.
고정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실외 측 도어락도 떨어집니다.
설치 보강판 주변에 볼트를 모두 풀고 문틀에 고정된 부품의 위아래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설치보강판과 문틀 부품이 모두 떨어집니다.
저희 현관문 손잡이는 위에 사진처럼 고정 볼트가 있으며 고정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실내와 실외 손잡이 모두 빠집니다.
문 옆면에 끼워진 장치도 위아래 볼트를 모두 풀면 왼쪽 사진처럼 빠집니다.
문틀에 부품 역시 위아래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빠지며 안쪽에 끼워진 플라스틱 부품도 빼냅니다.
현관문 무타공 도어락 설치 방법
문 옆면에 끼우는 장치는 위아래 구분이 있으며 방향에 맞춰 끼웠을 때 튀어나온 걸쇠의 깎인 부분이 문틀 쪽을 향해야 합니다.
만약 걸쇠 방향이 맞지 않는 다면 방향을 바꿔야 하는데 제가 설치한 도어락은 오른쪽 사진처럼 커버를 열면 걸쇠를 뺄 수 있으며 방향에 맞춰 끼운 다음 커버를 닫아주면 됩니다.
왼쪽 사진에 긴 막대는 핸들시프트입니다.
핸들 시프트는 안쪽 바깥쪽 구분이 있으며 안쪽에서 끼우는 방식과 바깥쪽에서 끼우는 방식이 있습니다.
제가 설치한 도어락은 왼쪽 사진처럼 바깥쪽에서 끼우고 오른쪽 사진처럼 안쪽에 클립을 끼워야 합니다.
먼저 실외 측 도어락을 먼저 끼워야 하는데 왼쪽 사진처럼 보조키 도어락을 설치했던 구멍이 모두 가려지지 않고 살짝 보입니다.
그래서 오른쪽 사진처럼 보강판을 대고 그 위에 실외 측 도어락을 끼웠습니다.
대부분의 도어락 보강판은 별도로 추가 주문을 해야 합니다.
실내 측 도어락 뒷면에 설치 보강판을 빼서 위에 사진처럼 현관문에 밀착시키고 볼트를 이용해 실외 도어락을 고정합니다.
사진상에는 실수로 보강판을 끼우지 않고 촬영을 했는데 이후 뗐다가 보강판을 먼저 올리고 위에 설치 보강판을 고정했습니다.
왼쪽 사진처럼 실외 도어락에 연결된 잭과 모티스에 연결된 잭을 실내 측 도어락 뒷면에 끼웁니다.
실내 도어락을 문에 밀착시키고 고정 볼트를 사용해 단단히 고정합니다.
문틀에 끼우는 플라스틱 부품도 위아래 구분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부품을 방향에 맞춰 끼우고 커버를 올린 다음 전용 볼트를 이용해 고정합니다.
왼쪽 사진처럼 건전지를 끼우고 설명서 내용을 참고해서 비번 및 태그를 등록하면 무타공 도어락 설치가 완료됩니다.
'집 사무실 셀프수리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어락 건전지 방전 버튼 눌러지지 않을 때 무음모드 설정 (0) | 2025.07.20 |
---|---|
사무실 문 방문 디지털 도어락 셀프 설치 (0) | 2025.07.19 |
베란다 천장 빨래건조대 설치 방법 줄까지 교체 (0) | 2025.07.16 |
주키 방식 도어락 자가 설치 방법 구멍 뚫기 (0) | 2025.07.15 |
화장실 환풍기 직접 교체방법 댐퍼 추가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