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 상태 또는 주행 중 자동차 핸들 돌릴 때 나는 소리 원인 모닝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 자가 교체 방법
자동차 핸들은 정지 상태는 물론 주행 중에도 돌렸을 때 소음이나 걸림 없이 부드럽게 돌아가는 것이 정상입니다.
그런데 핸들을 돌릴 때 뚝뚝 뚜둑 걸리는 느낌이 들거나 찌그덕 고무소리 드드득 둔탁한 소리 삐익하는 쇳소리가 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리가 나는 원인에 따라서 주행 중에만 나거나 정지 중에 핸들을 돌릴 때만 나기도 하고 항상 나기도 합니다.
단, 핸들 돌릴 때 나는 소리 증상을 표현하는 방식은 상당히 주관적이고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단정 지어서 설명할 수는 없지만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는 원인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본문에서는 핸들 돌릴 때 나는 소리 원인 몇 가지와 제가 경험했던 올뉴모닝 핸들 돌릴 때 소리 원인을 찾아서 직접 자가 수리하는 과정을 정리했습니다.
저는 자동차 전문가가 아닌 일반 운전자도 용어와 표현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볼 조인트 파손 및 고무 부싱 불량
볼 조인트는 로우암과 바퀴가 고정된 ㄴ디스크 아래를 연결하는 부품으로 핸드를 좌우로 돌릴 때 함께 움직이는 관절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작동 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윤활유가 채워진 고무로 감싸져 있는데 고무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면 윤활유가 흘러나오게 됩니다.
이렇게 윤활유가 부족해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마찰로 연결 부위가 마모되어 유격이 생길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핸들을 돌릴 때 소리가 나게 됩니다.
볼 조인트 문제로 소리가 날 때는 항상 같은 소리가 날 때도 있지만 핸들을 일정 각도로 돌렸을 때만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좌우 회전뿐만 아니라 차량이 위아래로 흔들릴 때도 녹슨 철문을 움직일 때처럼 삐그덕 또는 찌그덕하는 소리가 나는데 특히 과속방지턱이나 요철 등을 넘을 때 소리가 난다면 볼 조인트 또는 고무부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볼 조인트 또는 고무 부싱에 문제라면 부품을 교체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디스크 편마모 및 불량
바퀴를 탈거하면 위와 같이 원판 형태의 디스크가 있으며 자동차를 멈출 때 디스크 양면에 브레이크 패드가 밀착되면서 제동 합니다.
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지속적으로 강한 마찰이 작용하고 열이 발생하며 오랜 기간 사용하면 디스크 편마모 같은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디스크 편마모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서 완전히 떨어지지 않는 위치가 생기가 됩니다.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서 완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을 돌리면 쇳소리가 납니다.
점검 결과 디스크 변형으로 판단이 되면 디스크를 교체해야 하고 패드를 함께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휠 정렬 상태 얼라이먼트 불량
자동차의 네 바퀴는 일정한 허용 범위 내에서 정렬되어 있어야 하지만 허용 범위를 넘어서 틀어진 경우 핸들을 돌리거나 주행할 때 소리가 날 수 있으며 미세한 차체 진동이나 핸들 진동이 함께 느껴지기도 합니다.
바퀴의 정렬 상태는 일반적인 주행이나 어지간한 힘으로는 틀어지지 않지만 충돌 사고 또는 높은 요철을 빠른 속도로 넘어가는 등 강한 힘으로 충격으로 받으면 틀어지게 됩니다.
부품이 파손되지 않고 단순히 정렬만 틀어진 상태라면 정비소에서 휠 얼라이먼트를 점검하면 해결됩니다.
MDPS 커플링 플렉시블 커플링 파손
MDPS 커플링은 일부 차량의 파워스티어링 장치에 들어가는 부품으로 핸들을 돌릴 때 축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부품이 마모되면 MDPS(EPS) 전체를 파손시킬 수도 있습니다.
증상은 핸들을 잡고 있다가 돌리려고 하면 바로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고 딱딱, 뚝뚝, 뚜둑 등 소리를 내며 순간적으로 멈칫하다가 돌아가기도 합니다.
또한 핸들을 돌리려고 할 때 자석에 붙어 있다가 떨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다만, 이런 증상은 스마트크루즈 컨트롤 자율주행 기능 증 차선 안전 기능을 '보조'로 설정해서 주행할 경우에도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예단하지 말고 점검을 받아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MDPS 커플링 부품 자체 가격은 딱히 부담이 되는 수준은 아니지만 작업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공임이 많이 발생합니다.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고무 커버 불량
이번에 제가 경험한 증상은 쇼바 마운트 위에 동그란 원반처럼 보이는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커버'의 문제였습니다.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가 노후되거나 변형되면 핸들을 돌릴 때마다 뿌드득 또는 드드득 등 소리가 나고 정지상태와 주행 중에도 소리가 나는데 소리가 나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태로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경차에서 많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인데 외관상 큰 파손이 없어도 오랜 기간 사용하면 모양이 조금 변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핸들을 돌릴 때 소리가 나게 됩니다.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는 경차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도 특징입니다.
본문의 자동차는 2013년 출고된 모닝 올뉴모닝입니다.
제가 느낀 증상은 핸들을 돌릴 때 조수석 앞쪽 바퀴에서 소리가 났으며 정지 상태에서 돌리면 조금 더 크게 나고 주행 중에는 비교적 작게 났는데 그 정도와 강도가 상황에 따라서 수시로 달라졌습니다.
올뉴모닝 소마마운트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 교체 방법
2014년형 올뉴모닝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 품번 COVER-ISULATOR DUST : 54627 2K000
한 개 가격은 2400원으로 양쪽 두 개 모두 교체하기 위해 두 개를 준비했습니다.
차종 및 모델에 따라서 다른 부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품을 주문할 때 차대번호를 알려주고 주문하는 것이 정확하겠습니다.
이전 모닝 모델은 쇼바 마운트 위쪽에 몇 개 장치를 떼야 작업이 가능했지만 올뉴모닝은 바로 작업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고정 너트가 안쪽으로 살짝 안으로 들어가 있고 위쪽에 공간이 부족해서 옵셋 렌치(17mm)가 필요한데 저는 그게 없어서 조금 힘들었습니다.
가운데 사진과 오른쪽 사진은 운전석 앞에 쇼바마운트의 모습으로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 위에 고무마개를 빼냅니다.
고무로 되어 있지만 어지간한 손힘으로는 빠지지 않아서 일자 드라이버를 끼워 지렛대 원리로 빼냈습니다.
고무마개를 열면 왼쪽 사진처럼 17mm 너트가 보입니다.
저는 옵셋 렌치가 없어서 멍키 스패너로 조심해서 간신히 풀었습니다.
상당히 강한 힘으로 조여져 있고 나중에 강한 힘으로 다시 조여야 하는데 스패너를 사용하다가 자칫 너트가 마모되면 일이 상당히 커질 수 있는 만큼 각별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만약 옵셋 렌치가 없고 볼스 렌치만 있다면 너트 위쪽에 부품 일부를 탈거하고 공간을 만들어 작업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왼쪽은 기존에 끼워진 부품이며 오른쪽은 새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입니다.
전체적으로 큰 차이는 없지만 달려있던 부품 테두리 주변으로 솟은 부분이 많이 주저앉았습니다.
새 부품을 올려놓고 앞서 풀었던 17mm 너트를 이용해 단단히 고정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른쪽 사진처럼 고무마개를 끼우면 모닝 쇼바마운트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 교체가 완료됩니다.
앞서 운전석 앞쪽 부품에서도 알 수 있듯 외관상 문제가 없어 보여도 일부가 변형되면 핸들을 돌릴 때 소리가 나기 때문에 한쪽만 교체하기보다는 양쪽을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 사진은 올뉴모닝 조수석 앞쪽 인슐레이터 더스트 커버를 교체한 모습으로 앞서 교체한 운전석 앞쪽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업하면 됩니다.
여름철 타이어 적정공기압 적당한 공기압으로 유지
여름 겨울 계절별 타이어 적정공기압 계절에 관계없이 적당한 수준의 공기압으로 유지하는 것이!자동차 타이어 공기압을 계절 또는 기상 여건에 따라서 다르게 하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타이어
car4yb.com
'내 차 관리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티즈 스파크 윈도우 스위치 교체 방법 (0) | 2025.08.21 |
---|---|
자동차 예비퓨즈 위치와 용량 퓨즈 교체 (0) | 2025.08.19 |
자동차 실내등 LED 램프 교체 싼타페 다시방 (0) | 2025.08.16 |
자동차 후방 센서 거리 후방카메라 빨간선 노란선 (0) | 2025.08.14 |
블랙박스 영상 스마트폰 보는 법 저장 방법 (0)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