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키 방식 도어락 자가 설치 방법 구멍 뚫기
기존에 달려있던 보조키 도어락과 현관문 손잡이를 떼어내고 주키 방식의 현관문 디지털 도어락 셀프 설치, 구멍 뚫는 방법
현관문에 디지털 도어락은 종류도 다양하고 타입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떼는 방법이나 설치 방법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도어락은 직접 떼고 교체 설치하는 것도 크게 어렵지 않지만 현관문에 지름 32mm 큰 구멍을 뚫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멍을 새로 뚫어야 한다면 홀커터와 드릴이 필요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기존 구멍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거나 구멍을 뚫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무타공 도어락을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간단하고 작업 소요시간도 20~30분 정도로 길지 않습니다.
제가 교체설치한 도어락은 주키 방식의 도어락으로 지름 32mm 구멍을 뚫어야 했습니다.
참고로 보조키 방식의 현관문 도어락 교체 설치 방법에 관한 내용은 본문 하단에 글이 있습니다.
기존 보조키 도어락과 현관문 손잡이 떼는 방법
주키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하려면 현관문에 달려있는 기존 손잡이를 떼야하고 보조키로 설치되어 있던 장치들도 떼야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현관문 손잡이는 제품에 따라서 탈거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위에 손잡이는 실내 쪽 손잡이에 고정 볼트가 있고 고정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안팎의 손잡이가 모두 떨어집니다.
문 옆면에 끼워진 장치는 위아래 고정 볼트를 모두 풀고 당기면 오른쪽 사진처럼 빠집니다.
문들에 부품 역시 위아래 볼트를 모두 풀면 커버가 빠지고 안쪽 플라스틱 부품도 모두 빼냅니다.
보조키 도어락은 건전지를 빼고 수동 잠금장치를 돌려서 열림 상태로 만든 다음 주변에 볼트를 모두 풀면 도어락 본체가 떨어집니다.
도어락 뒷면에는 잭과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며 잭을 분리하면 오른쪽 사진처럼 도어락이 완전히 떨어집니다.
왼쪽 사진 케이블 주변에 두 개 큰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바깥쪽에 달려있던 도어락이 떨어집니다.
실내 도어락 고정장치 역시 보이는 볼트를 모두 풀면 오른쪽 사진처럼 현관문에서 떨어집니다.
문틀에 고정돼 있는 부품 역시 위아래 볼트를 모두 풀면 떨어집니다.
주키방식 현관문 도어락 설치 구멍 뚫기
위에 사진은 제가 설치할 주키 타입의 디지털 도어락이며 보조키 구멍을 가릴 수 있도록 보강판을 추가로 주문했습니다.
보조키 잠금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서 보강판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보강판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문 옆면에 들어가는 부품(모티스)을 옆면에 끼우고 위아래 전용 볼트를 이용해 고정합니다.
해당 부품은 위아래를 구분해서 끼워야 하고 화살표가 가리키는 걸쇠의 깎인 부분이 문이 닫히는 쪽에 위치하도록 방향을 맞춘 다음 고정해야 합니다.
잭과 케이블은 실내 쪽으로 빼놓은 상태로 고정합니다.
모티스 고정 후 핸들 시프트를 끼웁니다.
핸들시프트는 안쪽 바깥쪽 구분이 있고 해당 도어락은 안쪽에서 끼우고 오른쪽 사진처럼 바깥족에 클립을 끼워야 합니다.
핸들 시프트는 밖에서 끼워야 하는 도어락도 있었습니다.
위에 사진처럼 핸들시프트를 도어락 설치 설명서에 맞춰 끼우고 위쪽 지름 32mm 구멍의 중심을 표시합니다.
현관문에 지름 32mm 구멍을 뚫을 때는 오른쪽 사진과 같은 홀커터가 필요합니다.
저는 지름 35mm 홀커터를 사용했는데 문제는 없었습니다.
철판용 홀커터를 사용하고 초경홀커터를 사용하면 조금 쉽게 뚫을 수 있고 홀커터도 조금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왼쪽 사진 동그라미 안에 표시 위치가 지름 32mm 구멍의 중심입니다.
해당 구멍은 현관문 안쪽과 바깥쪽 모두 같은 위치에 뚫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홀커터를 사용하기 전에 길이가 긴 드릴 비트를 사용해서 오른쪽 사진처럼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구멍을 뚫어놓고 작업하는 것이 편합니다.
철판에 구멍을 뚫을 때 드릴 비트 끝이 이리저리 움직여서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드릴 비트를 쓰기 전에 표시한 곳에 콘크리트 못을 대고 망치로 강하게 한두 번 쳐서 홈을 만들면 드릴 비트가 이리저리 움직이는 것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홀커터는 철판을 깎아내서 큰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많은 열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너무 강한 힘으로 눌러서 사용하면 홀커터 날이 쉽게 무뎌질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시간을 넉넉하게 가지고 가볍게 눌러서 구멍을 뚫는 것이 힘도 덜 들고 홀커터도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설치한 도어락은 레버식으로 출고 당시에는 12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현관문에 장착하기 전에 90도 돌려서 방향을 맞춰야 합니다.
만약 방향을 잘못 맞춘 경우 다시 12시 방향으로 정렬했다가 다시 90도 돌려서 맞춰야 합니다.
손잡이를 정렬하는 방법은 도어락마다 방식이 다를 수 있는데 제가 설치한 도어락은 오른쪽 사진 화살표가 가리키는 도어락 뒷면 장치를 위로 밀어 올리면 도어락이 12시 방향으로 정렬됩니다.
먼저 왼쪽 사진처럼 보강판을 대고 실외 도어락을 끼웁니다.
이때 도어락에 연결된 케이블도 실내 쪽으로 밀어 넣습니다.
실내 쪽에는 오른쪽 사진처럼 보강판을 대고 실내 도어락 뒷면에 설치 보강판을 빼서 올려놓은 다음 실외 도어락 고정 볼트를 사용해 실외 도어락을 고정합니다.
이때 너무 강한 힘으로 조이면 현관문이 살짝 휘어지면서 실외 도어락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으니 현관문이 변형되지 않는 수준에서 최대한 단단히 고정합니다.
실외 도어락을 고정한 후에는 왼쪽 사진처럼 실내 도어락 뒷면에 잭을 모두 끼웁니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처럼 설치 보강판 위에 올리고 전용 볼트를 이용해 고정합니다.
문틀에 끼우는 플라스틱 부품은 위아래 구분이 있으며 위아래 표시에 맞춰 끼우고 커버를 닫은 다음 전용 볼트를 위아래 끼워 고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실내 도어락에 건전지를 끼우면 도어락 교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 후에는 설명서의 내용을 참고해서 작동 상태 확인 및 비번 등록, 태드 등록 후 사용합니다.
현관문 보조키 디지털 도어락 교체 설치
아파트 현관문에 보조키 타입의 디지털 도어락을 떼고 교체 설치하는 방법보조키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현관문 손잡이와 별도로 설치하는 잠금장치로 현관문 손잡이를 떼지 않고 설치하며
car4yb.com